본문 바로가기

금융범죄/부업 및 팀미션 사기

Lampionn 사칭 부업/팀미션 투자 사기 사례

이 블로그에 게재된 모든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본 블로그의 콘텐츠는 영리적 목적 없는 공익적 목적의 재사용만이 허용됩니다. 다만, 상업적 사용이나 무단 복제, 도용, 배포는 엄격히 금지합니다.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본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은 법적 책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법률사무소 번화 입니다.

 

오늘은  'Lampionn'이라는 커뮤니케이션 어플을 사칭 및 이용하여 틱톡, 인스타등 각종 SNS를 통해 "간단 알바" , "영상 시청 미션" 등 간단한 업무를 수행하면 하루에 10~20만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면서 접근하여, 거액의 결제대금을 편취하는 방식의 온라인 부업/팀미션 사기사례를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1️⃣ 개요 - Lampionn 어플을 통한 부업/팀미션 제공의 실체(람피온사기)

 

최근 네이버 카페등에서 틱톡, 텔레그램등으로 영상시청, 앱 부업으로 수십만원을 벌 수 있다며 Lampionn 어플을 이용한 사기 유형이 급속도로 퍼지고 있습니다. 이 유형의 핵심은 지정해준 인물들의 틱톡영상을 일정시간 시청하면 포인트(현금)가 적립되고, Lampionn이라는 카카오톡과 비슷한 유형의 의사소통 어플을 통해 팀미션 형식으로 진행하는 거라며 초기투자 없이 돈을 벌 수 있다고 소비자를 유인합니다.

문제는 한두번 정도는 정상적으로 진행되나, 그 이후에 팀미션 진행 도중 실수 했다며 팀원들이 피해를 입으니 돈을 입금해야 적립된 포인트를 회수할 수 있다고 입금을 강요합니다.

안타까운것은, 피해를 끼치기 싫거나 포인트가 아까운 피해자 분들이 결국 돈을 입금하더라도 "수행시간이 초과되었다" , "그 사이 금액이 변동되었다" 등의 궁색한 변명으로 지급을 미루다 결국 계좌가 동결되거나 입금한 금액을 받지못하는 상황이 주 패턴입니다.


2️⃣ 실제 사례 및 피해자들의 증언

 

사례 1. 30대 주부 A씨는 어느날 SNS 메세지로 "크리에이터를 시청하면 돈 벌 수 있다" 는 제안을 받아 위와같은 진행을 하게되어 800만원을 입금하였으나 앱 계정이 정지되어 피해금을 돌려받지 못한 경우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카페 백두산



사례 2. 직장에서 은퇴한 60대 B씨가 문자메세지로 "리뷰 미션 수행 앱"을 소개받아 Lampionn 어플을 통해 600만원 가량 송금하였으나 "세금 납부 절차로 인한 지급 지연" , "절차 진행 도중 금액변동" 등 메세지만 남기고 관리자와 연락이 끊긴 경우

사례 3. 30대 직장인 C씨가 DM을 통해 "틱톡을 보면 포인트를 적립해준다"는 제안을 받고 마찬가지로 팀미션을 수행하다 타이밍을 놓쳐 포인트를 다 잃고 팀원분들에게 피해가 생긴다는 운영진 압박에 8차례에 걸쳐 5천만원 가량을 송금하였고 원금 손실 걱정에 투자한 금액 모두를 출금 설정을 하다 "금액 모두로 설정" 하였다는 이유로 계좌를 동결한 경우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카페 백두산

 


3️⃣ 분석 - Lampionn 팀미션의 구조

 

Lampionn 사기는 일반적인 웹사이트 사기보다 더욱 정교하고 교묘하게, 모바일 어플 내 미션과 입금 시스템 모두를 구현한
완성형 형태 입니다. 앱 내부적으로 포인트와 미션 단계가 표시되기 때문에 피해자는 이를 실제 업무나 공식사이트에 미션을 제공받는 듯한 느낌을 들게 합니다. 또한 "앱 삭제 시 포인트 소멸" , "등급 유지비 필요"등 각양 각색의 대본 구비로 심리적 압박을 구사하여 반복적으로 송금을 유도 합니다. 결국 모든 입금액은 사기범이 제어하는 대포통장으로 이체되고 어플이 흔적도 없이 삭제되거나 계정을 정지시켜 버립니다.


4️⃣ 법률사무소 번화의 Lampionn 사기피해 회복 솔루션

 

이러한 유형의 사기 피해를 입었다면, 송금 직후 24시간 이내의 대응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시점은 자금이 완전히 인출되기 전, 회수가 가능한 유일한 시간대이기 때문에 흔히 금전 회수의 골든타임이라 일컫습니다.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이체한 은행에 즉시 연락해 지급정지를 요청하는 것입니다.

Q. 지급정지란?
A. 금융사기등에 당하여 사기범에게 돈을 보냈을 경우 은행에 요청해 받은 계좌를 동결시키고,
보낸 금액을 피해자에게 돌려주는 제도.

관련법령링크

추가적으로 계좌추적과 가압류 중심의 실질적 회복 절차를 진행할 수 있고,
사기죄등 형사고소를 통해 사기범을 특정할 수도 있습니다.


법률사무소 번화에서는 다양한 사기를 처리하고 대응한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으며, 다수의 예금채권가압류를 통해 피해자의 피해금을 일부나마 보전받을 수 있도록 도와드린 실제 사례가 있습니다. 본 포스팅과 같은 사기의 특성상 매우 빠르게 대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특히 형사 전문 변호사와 금융 전문 변호사의 협업을 통해 형사절차와 예금채권가압류의 동시진행이 신속하게 가능하니,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아래 링크를 통해 피해사례 접수 및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니,
피해자라고 생각되시는 분은 신속하게 참여하시기 바랍니다.